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화툴 기획서 작성법: 혼자서도 가능한 1인 PM 연습

by diimanchez 2025. 3. 31.

자동화툴 기획서 작성법: 혼자서도 가능한 1인 PM 연습

“내가 만들 자동화툴, 누가 언제 어떻게 쓸까?” 기획의 본질은 상상력입니다.

자동화툴 기획서 작성법: 혼자서도 가능한 1인 PM 연습
자동화툴 기획서 작성법: 혼자서도 가능한 1인 PM 연습

안녕하세요! 자동화툴 만들겠다고 마음 먹었는데, 막상 손대려고 보니 막막했던 분 있으시죠? 뭘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모르겠고, 머릿속에만 막연한 그림이 떠오를 뿐이라면 지금 당장 기획서를 써보세요. PM(프로덕트 매니저)처럼요. 혼자 만드는 툴일수록 더더욱 기획이 필요합니다. ‘누가’, ‘언제’, ‘어떻게’ 쓸지를 상상하면서 기능을 구조화해보는 연습, 오늘 함께 해볼게요.

자동화툴에도 기획이 필요한 이유

“그냥 만들면서 생각하지 뭐~” 라고 하다가 삽질만 잔뜩 해보신 분들 많을 거예요. 자동화툴은 겉보기엔 단순하지만, 동작 순서, 입력값, 예외 상황 등 고려할 게 꽤 많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도 쓸 툴이라면 직관적인 사용 흐름이 있어야 하죠. 그래서 기능만 정리해도 방향이 확 잡힙니다.

핵심 기능 정리부터 시작하자

자동화툴 기획은 복잡할 필요 없어요. “무엇을 자동으로 만들 것인가”를 기능 단위로 정리해보는 것부터 시작해요. 아래처럼 간단한 표로 정리해도 충분합니다.

기능 설명
신규 주문 감지 스마트스토어 주문 내역을 실시간 감지
주문 데이터 저장 구글시트에 자동으로 내역 기록
텔레그램 알림 판매자에게 주문 알림 전송

사용자 플로우: 어떻게 흘러갈까?

이제 기능이 정리됐다면, 사용자가 실제로 어떻게 이 툴을 사용할지를 상상해보는 단계입니다. 대충 이런 느낌으로 흐름을 그려볼 수 있어요:

  1. 사용자가 구글시트에서 API 키 입력
  2. 노션 템플릿을 복사하고 웹훅 URL 붙여넣기
  3. 첫 주문 발생 → 자동 저장 → 알림 발송
  4. 매일 오전 9시에 요약 리포트 전송

예외처리까지 생각해야 진짜 완성

“안 될 수도 있다”를 항상 염두에 둬야 해요.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보세요:

  • API 키가 잘못되었을 때는?
  • 인터넷이 끊겼을 때는?
  • 주문 데이터 형식이 달라졌다면?

이런 상황에서 유저에게 에러 메시지대체 흐름을 어떻게 안내할지를 고민해두면 훨씬 신뢰감 있는 툴이 됩니다.

Q 기획서는 꼭 문서로 작성해야 하나요?

꼭 그렇진 않아요. 메모장에 핵심 흐름만 정리해도 충분합니다. 핵심은 '생각을 구조화하는 것'이에요.

Q 사용자 플로우를 꼭 그려야 하나요?

그려보면 훨씬 명확해집니다. 그리고 기능 누락도 줄어들어요.

Q 에러 처리는 꼭 넣어야 하나요?

네, 특히 유료로 배포할 거라면 필수입니다. 신뢰도를 좌우하는 요소예요.

자동화툴은 ‘만드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누가 어떻게 쓸지를 상상하는 기술’이 훨씬 중요합니다. 그 상상력이 구조가 되고, 구조는 곧 실행이 되죠. 오늘 글을 읽고 나면, 자동화툴도 하나의 서비스처럼 기획할 수 있겠다는 감이 오셨을 거예요.

기획서는 거창한 문서가 아니에요.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기 위한 ‘중간다리’일 뿐입니다. 오늘, 여러분의 머릿속 자동화를 메모장에 한 줄로라도 써보세요. 그게 바로 시작입니다.